본문 바로가기
치매

치매예방약, 효과 있을까? 처방 가격 부작용 비용

by 밸런스지기 2025. 3. 12.

1. 치매예방약 종류 & 기전

현재 병원에서 처방하는 치매 약제는 총 4가지입니다.

1️⃣ 콜린분해효소억제제 (도네페질, 리바스티그민, 갈란타민)

  • 기전: 아세틸콜린 분해를 억제하여 인지 기능을 개선
  • 대표 약제: 아리셉트(도네페질), 엑셀론(리바스티그민), 레미닐(갈란타민)

2️⃣ NMDA 수용체 억제제 (메만틴)

  • 기전: 뇌세포의 과도한 흥분을 억제하여 인지 기능 저하 속도를 늦춤
  • 대표 약제: 에빅사(메만틴)

두 가지 계열의 약물을 함께 복용할 수도 있으며, 환자의 상태에 따라 처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 

2. 치매예방약 가격은 얼마일까?

치매 예방약의 가격은 약제 종류와 건강보험 적용 여부에 따라 다릅니다.

약제명 성분명 월간 약가 (건강보험 적용 전) 환자 부담금 (건강보험 적용 시)
아리셉트 도네페질 약 15만 원 약 1.5만 원
에빅사 메만틴 약 15만 원 약 1.5만 원
엑셀론 패치 리바스티그민 약 20만 원 약 2만 원
레미닐 갈란타민 약 18만 원 약 1.8만 원

 

건강보험 적용 시, 환자 부담금은 10~20% 수준으로 줄어듭니다.
도네페질·메만틴 조합 처방 시 비용이 다소 증가할 수 있음

📌 약국마다 가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, 처방 후 직접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
 

 

반응형

 

3. 치매약 처방 방법 & 비용 (병원에서 어떻게 받나요?)

치매 예방 및 치료제를 처방받기 위해서는 병원 진료 후 의사의 판단이 필요합니다.

처방받는 과정

1️⃣ 신경과 또는 정신건강의학과 방문

  • 치매 선별 검사 및 인지 기능 평가 진행

2️⃣ 필요 시 MRI, CT 검사 진행

  • 치매 가능성이 높다면 정밀 검사를 통해 상태 확인

3️⃣ 의사가 적절한 약물 처방 결정

  •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단독 혹은 복합 처방 진행

4️⃣ 처방전 발급 후 약국에서 구매

  • 보험 적용 가능 여부 확인

65세 이상 건강보험 가입자는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🏥 처방 비용은 얼마일까?

  • 진료비: 신경과·정신과 방문 시 건강보험 적용 후 1만~3만 원 수준
  • 약값: 건강보험 적용 시 한 달 약값 1.5만~3만 원

📌 신약(레켐비 등)은 건강보험 미적용으로 연간 치료비가 2,000~3,000만 원대일 수도 있습니다.

📌 지자체 지원 여부 확인!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치매 환자의 약제비와 진료비 지원을 하고 있으니, 보건소나 치매안심센터에서 확인해 보세요.


👉 치매안심센터 바로가기

 

4. 치매 치료제 부작용 및 주의사항

치매 예방 및 치료제는 효과적인 반면, 일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 

📌 콜린분해효소억제제 (도네페질, 리바스티그민, 갈란타민)

기전: 아세틸콜린 분해를 억제하여 뇌 내 아세틸콜린 농도를 증가 → 인지 기능 개선

💊 부작용:

  • 위장 장애: 오심, 구토, 설사, 식욕 부진 (20% 발생 가능)
  • 체중 감소: 1년 동안 평균 1.4kg 감소
  • 심혈관 영향: 맥박 저하, 혈압 저하, 기립성 어지럼증
  • 수면 장애: 불면증, 생생한 꿈

📌 대처법:

  • 저용량부터 시작해 천천히 증량
  • 부작용 발생 시 복용 시간 조절 (저녁 → 오전 변경)

📌 NMDA 수용체 억제제 (메만틴)

기전: 뇌세포의 과도한 흥분을 억제 → 인지 기능 저하 속도를 늦추고, 불안·초조·이상 행동 완화

💊 부작용:

  • 상대적으로 적음
  • 드물게 어지럼증, 초조함, 망상, 환각 발생 가능

📌 대처법:

  • 용량 조절 및 의사 상담 후 조정

5. 치매약 복용 시 주의할 점

✔ 위장 장애 등 부작용이 흔하지만, 체중 감소나 어지럼증은 고령 자체의 문제일 수도 있음
부작용이 있어도 자의로 약을 끊지 말고 반드시 의사와 상담
약물 중단 시 치매 진행 속도가 빨라질 수 있음
복합 처방(콜린분해효소억제제 + 메만틴) 시 부작용이 더 클 수 있어 신중한 관리 필요

 

결론: 치매 예방 & 치료, 약물 복용이 중요합니다!

✔ 치매 예방약은 인지 기능 개선을 목표로 하며, 조기 치료가 중요합니다.
✔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적절한 용량 조절과 복용 시간 조정이 필요합니다.
✔ 환자와 보호자는 약물 사용 시 부작용을 잘 관찰하고, 병원과 지속적으로 소통해야 합니다.

🔎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면?
👉 보건복지부 치매안심센터 (www.nid.or.kr)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! 😊